10-09
“우리 늦둥이 말도 늦고 TV도 크게 듣는데”…병원 갔다가 아빠의 뒤늦은 후회
2024-09-07 HaiPress
“소아 흔한 삼출성 중이염 방치하면 언어발달 방해”
신승호 이대서울병원 이비인후과 교수.[사진 제공 = 이대서울병원] A씨는 막내 늦둥이가 말도 늦고 TV 볼륨을 크게 올려 듣는데 뭔가 이상이 있는 것 같지만 특별히 아프거나 하지 않아 대수롭지 않게 넘겼다. 그러다가 병원을 방문한 후 충격적인 얘기를 들었다.
오는 9월 9일은 숫자 9와 모양이 닮은 귀를 건강하게 지키자는 의미에서 제정된 ‘귀의 날’이다. 청력은 삶의 질을 크게 좌우하는 영역으로 ‘100세 시대’를 살아갈 아이의 귀 건강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아이가 갑자기 귀를 자꾸 만지거나,보챈다든지,고름이 흘러나올 때는 급성 중이염(중이에 고름이 차는 질환)을 의심할 수 있고 병원에서 치료가 이뤄진다.
그러나 삼출성 중이염은 별다른 증상이 없어 진단이 잘 이뤄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만약 치료가 이뤄지지 않으면 언어발달이 저해되거나 고막의 구조적 이상이 발생하게 된다.
7일 신승호 이대서울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삼출성 중이염은 대개 호전되지만,일부 고위험군은 삼출성 중이염 잘 낫지 않게 되고 만성화돼 고막에 구조적인 이상이 생기게 된다”며 “이런 경우 만성 중이 질환으로 자리 잡을 수 있기에 부모들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중이염은 귀의 고막에서 달팽이관까지 중이(中耳)에 염증이 생기는 병으로 발병 시기에 따라 ‘급성 중이염’,‘만성 중이염’으로 구분되며 중이강 내 염증성 물질에 따라 농성 분비물이 고이는 ‘화농성 중이염’,장액성 분비물이 있는 ‘삼출성 중이염’으로 나눠진다.
급성 중이염은 특히 이관(耳管)이 완전히 발달하지 않은 10세 미만 소아에게서 잘 생기는데 특히 생후 6개월에서 3세 사이에 가장 많이 발병한다. 3세까지 약 70%의 소아가 적어도 1회 이상 급성 중이염을 앓는다고 알려져 있다.
신 교수는 “소아는 코의 뒤쪽 부분인 비인강과 중이를 연결하는 관인 유스타키오관(이관)이 성인에 비해 짧고 수평으로 위치해 코의 균이 쉽게 중이로 들어가 중이염이 발생하기 쉬운 구조”라고 소아에서 급성 중이염이 흔한 이유를 설명했다.
그는 “급성 중이염은 바이러스에 의한 상기도 감염 중에 자주 발생한다”며 “어린이집,유치원 등의 보육 시설에 다니게 되면 감기에 자주 걸릴 확률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급성 중이염이 자주 발생하거나 삼출성 중이염이 낫지 않고 지속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덧붙였다.
아이가 귀의 통증이나 발열과 같은 증상 없이 TV 소리를 크게 듣거나 말을 자꾸 되묻거나 말이 늦으면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단과 검사가 필요하다.
만약 아이가 삼출성 중이염 진단을 받게 되면 항생제를 투약 받을 수도 있고 감기에 걸리지 않게 하면서 자주 지켜봐야 한다. 만성 부비동염(축농증) 등이 있으면 중이염 치료를 위해 만성 부비동염은 반드시 치료가 필요하다.
3세 미만 소아에게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삼출성 중이염은 중이 내의 삼출물로 인해 청력 저하가 나타나는 것으로 청력 검사를 받아 봐야 한다. 3개월 이상 양측성 삼출성 중이염이 지속되거나 고막의 구조적 이상이 발생하거나,자주 급성 중이염이 발생한다면 고막 안에 고인 삼출물을 제거하고 중이 내부를 환기시켜 주기 위한 환기관을 삽입하는 것이 좋다.
신 교수는 “낫지 않는 삼출성 중이염은 장기간의 항생제 치료만 하는 것보다는 수술적 치료가 아이에게 도움이 더 될 수 있다”며 “아이가 소리에 반응하는 것을 한 번 더 살피고 관심을 가져야 적절한 시기에 치료가 이뤄져 중이염 합병증과 언어 발달 지체에 대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다른 매체에서 재생산되었으므로 재 인쇄의 목적은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지,이 웹 사이트가 그 견해에 동의하고 그 진위에 책임이 있으며 법적 책임을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이 사이트의 모든 자료는 인터넷을 통해 수집되며, 공유의 목적은 모든 사람의 학습과 참고를위한 것이며, 저작권 또는 지적 재산권 침해가있는 경우 메시지를 남겨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