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가능하다고? 차원이 다른 디스플레이로 맞붙는 삼성 LG

2025-05-13     HaiPress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Multi Axis Stretchable Display) [사진출처 = 삼성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차세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기술을 놓고 한 판 붙는다. 밝기와 수명,전력 효율의 향상 뿐 아니라 폼팩터의 혁신 기술력에 관한 경쟁은 한층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1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13∼15일(현지시간) 미국 새너제이 맥에너리 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행사 ‘SID(국제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25’에 참가한다.

SID는 글로벌 디스플레이 기업과 연구진이 한데 모여 새로운 기술과 제품을 전시하고 연구논문을 발표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디스플레이 학회 및 전시회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번 전시에서 전년 대비 성능이 개선된 ‘EL-QD’를 전시한다. 초미세 반도체 입자인 퀀텀닷(QD) 디스플레이로 불리는 EL-QD는 차세대 무기발광 기술이 집약된 제품이다.

센서 OLED 디스플레이. [사진출처 = 삼성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 측은 “현재 상용화된 QD-OLED는는 OLED에서 나온 빛이 QD 발광층을 통과하며 색을 만들어내는 방식이라면,EL-QD는 OLED 없이 전기신호가 직접 QD로 구성된 적·녹·청(RGB) 픽셀을 빛내는 방식이다”고 설명했다. 때문에 QD 특유의 장점인 뛰어난 ‘색 정확도’를 더욱 극대화하는 동시에 전력 소비를 줄였다.

삼성디스플레이가 이번에 선보이는 EL-QD는 400니트(nit,1니트는 촛불 한 개의 밝기) 고휘도 제품과 264PPI(1인치당 픽셀 수) 고해상도 제품 등 두 가지다.

올 초 국제 학술지 ‘네이쳐 커뮤니케이션스’에 소개된 ‘센서 OLED 디스플레이’ 기술도 이번에 실물로 전시된다.

센서 OLED 디스플레이는 특정 부분이 아닌 화면 전체에서 지문을 인식하고,빛으로 혈류량을 측정해 심혈관 건강 상태까지 확인할 수 있는 삼성디스플레이만의 혁신 기술이다.

또 RGB올레도스(OLEDoS) 중 업계 최고 해상도를 구현한 5000PPI 제품도 처음 공개한다.

RGB 올레도스. [사진출처 = 삼성디스플레이 ] 올레도스는 실리콘 웨이퍼 위에 유기물을 증착해 픽셀 크기를 수십 마이크로미터(㎛) 수준으로 구현한 초고화질 디스플레이로 XR 헤드셋의 핵심 부품이다.

제품 크기는 1.4형 초소형으로 손목시계 화면만큼 작지만,해상도는 8K TV보다 높다고 삼성디스플레이 측은 설명했다.

혁신적인 폼팩터 제품들도 한 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지난해 공개된 마이크로LED 기반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가 대표적이다. 이 제품은 화면을 3차원으로 돌출시키거나 공처럼 둥근 표면을 고해상도로 구현하는 등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플렉시블 브리프케이스(Flexible Briefcase)’,‘폴리건 폴더블(Polygon Foldable)’ 등 독특한 콘셉트 제품도 살펴볼 수 있다.

플렉시블 브리프 케이스. [사진출처 = 삼성디스플레이] 플렉시블 브리프 케이스는 18.1형 폴더블 OLED를 반으로 접어 손잡이가 있는 가방 형태로 사용할 수 있게 개발한 제품이다. 평소에는 태블릿 두 개를 합친 18.1형 크기로 크게 화면을 사용하다 이동 시 서류가방처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폴리건 폴더블’은 기존의 직사각형 형태가 아닌 3.38형 마름모 형태 OLED를 플립형 폴더블 폰의 외부 디스플레이에 적용한 제품으로 삼성디스플레이의 혁신적인 레이저 가공 기술을 통해 탄생했다.

LG디스플레이는 올해 행사에서 대형·중형·차량용을 아우르는 OLED 풀라인업을 공개한다.

이번에 선보이는 LG디스플레이의 4세대 OLED 패널은 RGB 소자를 독립적으로 쌓아 빛을 내는 독자 기술인 ‘프라이머리 RGB 탠덤’ 구조를 적용했다. 이를 통해 업계 최고 수준인 최대 휘도 4000니트를 달성했다.

4세대 OLED. [사진출처 = LG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는 4세대 OLED 패널로 AI TV부터 게이밍 OLED 등 프리미엄 시장 공략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존에서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설루션과 P(플라스틱)-OLED,ATO(어드밴스드 씬 OLED),하이엔드 LTPS(저온다결정실리콘) 액정표시장치(LCD) 등 LG디스플레이만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풀라인업을 적용한 콘셉트카가 전시된다.

콘셉트카 앞좌석 대시보드에는 LG디스플레이가 업계 최초로 상용화한 필러투필러(P2P)가 초대형 57인치 크기로 탑재됐으며,뒷좌석에는 엔터테인먼트(RSE)‘용 ’18인치 슬라이더블 OLED‘를 적용했다.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사진출처 = LG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측은 “‘차량용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는 기존 물리적 버튼이 있던 차량 센터페시아 영역에 화면이 자유자재로 늘어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적용해 미래 모빌리티 디자인 혁신 가능성을 열었다”고 평가했다.

이와 함께 16인치 노트북용 네오 엘이디(Neo:LED) 패널,14인치 노트북용 패널 등 저소비 전력 기술 및 친환경 부품 적용한 차세대 디스플레이도 공개한다.

LG디스플레이는 미래 환경 보존을 위해 제품 무게의 41%를 친환경 소재로 제작한 ‘14인치 노트북용 패널’ 역시 공개했다. LG디스플레이는 오는 2030년까지 친환경 소재 사용률을 50% 수준으로 높인다는 방침이다.

윤수영 LG디스플레이 최고기술책임자(CTO) 부사장은 “미래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도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창출하며 기술 리더십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다른 매체에서 재생산되었으므로 재 인쇄의 목적은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지,이 웹 사이트가 그 견해에 동의하고 그 진위에 책임이 있으며 법적 책임을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이 사이트의 모든 자료는 인터넷을 통해 수집되며, 공유의 목적은 모든 사람의 학습과 참고를위한 것이며, 저작권 또는 지적 재산권 침해가있는 경우 메시지를 남겨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