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3
“잘 살고 있다 날벼락”…집주인 세금체납에 공매 급증, 세입자 보호 대책 절실
2025-10-13
HaiPress
부동산 5년간 6300여채 공매
빌라·다세대 75.1%,보증금 1.2조원
“정부·캠코,세입자 보호에 적극 나서야”
전세사기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며 다세대·연립주택 전세를 찾는 청년층이 크게 줄고 있다. 사진은 대규모 전세사기가 벌어진 서울 화곡동의 다세대·연립주택 밀집지역 전경. 본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 [이충우 기자] 집주인의 세금 체납으로 부동산이 공매에 넘겨지는 사례가 급증하면서 해당 주택에 거주하는 서민 세입자의 주거 불안이 커지고 있다.
13일 허영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연간 1800건 안팎이던 부동산 공매 입찰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인 2021년부터 빠르게 늘어 지난해 2966건에 달했다.
올해 들어서는 지난 6월까지 부동산 공매 입찰은 1804건 진행됐다.
특히 공매 물건의 상당수가 세입자가 거주 중인 주택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임대차 계약이 설정된 주거용 공매 물건의 입찰 건수는 2021년부터 지난 6월까지 총 6287건으로 조사됐다. 매년 1000건 넘는 전세주택이 공매로 넘어가는 셈이다.
공매 지연·유찰 반복…세입자,보증금 장기간 묶여
캠코 [사진 = 연합뉴스] 세입자 있는 공매 물건 중 75.1%(4720건)는 서민들이 주로 거주하는 연립주택·빌라·다세대 주택이었다.
동기간 전세보증금 총액은 1조4882억원으로,이 중 81%인 1조2074억원이 연립주택·빌라·다세대 주택의 보증금으로 집계됐다.
공매는 늘었지만,아파트 선호현상으로 낙찰 지연·유찰이 반복되면서 세입자 보증금이 장기간 묶이는 사례도 많은 것으로 로 알려졌다.
허영 의원은 “부실이 터지는 과정에서 약한 고리인 서민들의 주거 안정이 크게 훼손되는 건 심각한 사회문제”라며 “정부와 캠코는 공매시장 관리뿐 아니라 피해 세입자 보호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 뉴스
“벌떼같이 몰려 들어요”…아파트값 뛰자 ‘한강벨트’ 경매 현장도 후끈
투자 1순위는 옛말,지금은 천덕꾸러기…지식산업센터 서울 한 달간 경매 낙찰 ‘0건’
AI 추천 질문Beta
Powered by
perplexity
부동산 공매 급증의 구조적 배경은?
공매로 인한 서민 세입자 주거 불안의 사회적 영향은?
검색
면책 조항 :이 기사는 다른 매체에서 재생산되었으므로 재 인쇄의 목적은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지,이 웹 사이트가 그 견해에 동의하고 그 진위에 책임이 있으며 법적 책임을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이 사이트의 모든 자료는 인터넷을 통해 수집되며, 공유의 목적은 모든 사람의 학습과 참고를위한 것이며, 저작권 또는 지적 재산권 침해가있는 경우 메시지를 남겨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