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6
네이버 AI 전략 키워드는 ‘AI에이전트·제조업AX’
2025-11-06
HaiPress
팀네이버 통합 컨퍼런스 ‘단25(DAN25)’ 개최
온서비스AI 전략 고도화한 ‘에이전트N’ 공개
내년 쇼핑·통합검색에 이용자 돕는 에이전트 도입
핵심 제조 산업 AX 전환·글로벌 확장도 추진

6일 최수연 네이버 대표이사가 DAN25 컨퍼런스에서 네이버의 통합 에이전트인 ‘에이전트 N’을 소개하고 있다. <네이버> 네이버가 향후 추진할 인공지능(AI) 사업 전략의 핵심을 AI에이전트와 제조업 AI전환(AX)으로 정하고 관련 전략을 공개했다.
6일 네이버는 서울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팀네이버 통합 컨퍼런스 ‘단25(DAN25)’를 열고 주요 서비스 중심의 AI 에이전트 전면 도입과 반도체·자동차·조선 등 핵심 제조 산업의 AX 경쟁력을 높이는 두 가지 방향의 AI 전략에 대해 밝혔다.
‘단25’ 키노트세션의 오프닝을 맡은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팀네이버는 지난 1년간 독자적 기술력으로 검색,쇼핑,로컬,금융 등 주요 서비스에 AI를 접목한 결과,사용자 만족도가 증가하고,매출 성장을 견인하는 등 긍정적인 시그널을 얻었다” 며 “그동안의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쇼핑을 시작으로 검색,광고 등 주요 서비스에 순차적으로 고도화된 에이전트를 본격 도입한다”고 밝혔다.
먼저 내년 1분기에는 AI 쇼핑 서비스 ‘네이버플러스 스토어’에 AI가 사용자 취향과 맥락에 맞는 상품을 추천하는 AI 에이전트를,2분기에는 통합검색에 AI 에이전트를 결합한 ‘AI탭’을 선보일 계획이다.
이를 위해 네이버는 서비스 전반의 데이터와 기술 인프라를 하나로 통합한 에이전트 브랜드 ‘에이전트 N’을 구축했다. 에이전트 N은 온서비스 AI를 통해 축적된 버티컬 AI 역량을 고도화해 사용자의 맥락을 이해하고 다음 행동을 예측·제안하며 실행까지 완결하는 구조로 설계됐다.
최 대표는 “사용자는 어떤 검색어를 입력할지 고민하지 않고 에이전트 N과의 대화만으로 AI 에이전트가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해 원하는 콘텐츠·상품·서비스로 연결하고 실제 행동까지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에이전트 N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는 김범준 네이버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에이전트N을 활용해 실제 구매와 결제를 진행하는 사례를 공개했다. 김 COO는 “쇼핑 에이전트의 경우 실제 구매자와 예약자만 남길 수 있는 리뷰,판매자와 직접 연결된 재고 데이터 등 신뢰도 높은 데이터 인프라를 구축했고 이를 분석하는 기술적 검증 체계도 갖췄다”고 말했다.
창작자와 비즈니스 파트너를 위한 AI 에이전트 생태계도 만든다. 네이버는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비즈니스 통합 에이전트인 ‘에이전트 N 포 비즈니스(Agent N for Business)’를 공개할 예정이다.
이종민 네이버 광고 사업 부문장은 “쇼핑,광고,플레이스 등 모든 사업자들을 위한 AI 솔루션”이라며 “그동안 분산돼 있던 사업자 솔루션과 데이터를 하나로 통합해 사업자가 AI를 기반으로 비즈니스 환경을 분석하고,현황을 손쉽게 진단하고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창작자들이 AI·확장현실(XR)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해 새로운 창작 실험을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위해 네이버는 게임,음악,OTT 등 다양한 영역의 기업들과 지속적으로 협력을 확대할 예정이다.
한국 제조업 현장에 AI를 결합하는 AX 사업에도 힘을 쏟는다.
최 대표는 “반도체·자동차·조선 등 한국 제조 핵심 산업의 탄탄한 경쟁력 위에 네이버가 갖춘 독보적인 AI 소프트웨어 역량을 더해 대한민국 산업 전반의 AI 전환과 혁신을 가속화할 것” 이라며 “풀스택 AI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대한민국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네이버는 국내 최대이자 최고 수준의 인프라를 목표로 AI 생태계 경쟁력을 위한 데이터센터와 컴퓨팅 투자를 공격적으로 확대한다. 우선 2026년까지 1조원 이상의 GPU 투자를 진행할 예정이며,곧 네이버 제2사옥 1784와 각 세종 데이터센터를 연결하는 ‘피지컬 AI’의 테스트베드가 본격 운영된다.
이를 활용해 제조업 등 산업 특화 AI(버티컬 AI)를 국내에 도입하고 나아가 글로벌 시장 확장에도 주력하겠다는 청사진도 제시했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AI는 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인프라”라며 “네이버는 자국의 언어·데이터·산업 구조를 가장 깊이 이해하는 기업으로서,‘소버린 AI 2.0’을 기반으로 산업별 버티컬 AI 모델을 구축해가고 있다”고 밝혔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제조·방산 등 실제 산업 현장에서 작동하는 ‘피지컬 AI’ 기술을 내재화하고,이를 기반으로 산업 특화 AI 생태계를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김 대표는 “조선,에너지,바이오 등 주요 산업의 기업들과 협력해 제조 전 과정의 AI 활용을 고도화하는 동시에,이 기술을 사우디·태국·일본 등 글로벌 시장으로 확산해 소버린 AI 레퍼런스를 넓혀갈 것” 이라며 “헬스케어·농업 등 AI 접근성이 낮은 분야에도 AI 기술 활용을 확대해 산업과 사회 전반의 AI 혁신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AI가 뉴스를 읽고 숨겨진 투자 기회까지 찾아드립니다.
남들보다 한발 앞선 투자 인사이트를 얻어보세요.
닫기
기사 속 종목 이야기
Powered by
perplexity
NAVER
035420,KOSPI267,500
- 3.95%
현대차
005380,
KOSPI
265,500
- 1.12%
NAVER
현재가 267,500
-3.95%
11.06 10:18
네이버는 검색,금융 등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며,자체 AI 기술력과 대규모 데이터 인프라를 바탕으로 AI 에이전트 및 제조업 AI전환(AX)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최근 발표된 AI 전략에서 네이버는 '에이전트 N' 브랜드를 통해 서비스 전반에 AI 에이전트를 도입하고,반도체·자동차·조선 등 제조업에 특화된 산업용 AI 솔루션을 확대할 계획을 밝혔습니다.
네이버는 AI 에이전트 기술을 쇼핑,검색,광고 등 핵심 서비스에 단계적으로 적용하고 있으며,제조업 현장에는 데이터센터와 GPU 등 인프라 투자를 통해 산업별 버티컬 AI 모델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실제 구매·결제 연동,신뢰도 높은 데이터 인프라,창작자 및 비즈니스 파트너 대상 AI 생태계 조성 등 구체적인 비즈니스 프로세스 혁신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AI 인프라 확장과 글로벌 시장 진출,산업별 맞춤형 AI 모델 개발을 통해 대한민국 산업 전반의 AI 혁신과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현대차
현재가 265,500
-1.12%
11.06 10:18
현대자동차는 글로벌 완성차 제조기업으로,내연기관차와 전기차,수소차 등 다양한 차량 라인업과 대규모 생산설비,글로벌 유통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미래차,모빌리티 서비스,스마트팩토리 등 신사업에도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습니다.
네이버가 제조업 AI 전환 전략에서 자동차 산업을 주요 적용 대상으로 언급하였으며,네이버의 산업 특화 AI 솔루션이 자동차 제조 분야에 도입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현대자동차는 AI 기반의 생산공정 최적화,품질관리,공급망 관리,고객 서비스 자동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효율성 제고와 운영 혁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외부 환경으로는 글로벌 친환경차 전환,공급망 리스크,AI 및 스마트 제조 트렌드 등이 주요 변수로 작용하며,현대자동차는 최근 전동화,자율주행,스마트팩토리 등 미래차 전략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AI 추천 질문Beta
Powered by
perplexity
AI 에이전트 도입이 국내 플랫폼 산업에 미칠 영향은?
제조업 중심 AX 전략 추진 배경은?
검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