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6
상경 투자→가격 상승→자산 격차 확대 ‘악순환’…표정 엇갈리는 서울·지방 집주인
2025-11-06
HaiPress
올해 서울 아파트값 6.8% 올라
이미 지난해 상승률 뛰어 넘어
지방은 작년 1.4% 하락 이어
올해도 1.3% 추가로더 떨어져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서울과 지방의 자산 격차가 갈수록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아파트값이 연일 오르며 자산 불평등을 키우는 반면,지방은 3년 가까이 하락세를 이어가며 집주인들의 시름이 깊어지는 모습이다.
6일 한국부동산원 자료에 따르면,올해 서울 아파트 누적 상승률은 6.88%로,지난해 상승률인 4.10%를 이미 웃돌았다. 이에 비해 지방은 지난해 1.42% 하락에 이어 올해도 1.30% 떨어지며 좀처럼 침체 굴레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집 여러 채를 분산 보유하기보다 세제·규제 부담을 감안해 입지와 상품성이 뛰어난 서울 핵심 아파트 한 채에 집중하는 이른바 ‘똘똘한 한채’ 선호 현상이 서울 쏠림과 가격 급등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방 시장은 인구 감소와 공급 과잉이 맞물리며 하락 폭이 확대되고 있다. 대구는 지난해 -4.01%,올해 -3.58%로 추가 하락했고,대전은 지난해 -0.98%,올해 -2.02%로 낙폭이 커졌다. 충남(-1.17%→-1.23%),전남(-0.74%→-2.09%),경북(-0.70%→-1.71%) 등도 모두 지난해를 웃도는 하락률을 기록 중이다.
미분양 물량도 지방 쏠림

9월 기준 전국 미분양 현황 [국토교통부] 9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 총 6만6762가구 가운데 5만1411가구(77%)가 지방에 몰려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도 전국 2만7248가구 중 2만2992가구(84%)가 지방에 집중되는 등 미분양 적체가 심각한 상황이다.
수도권과 지방 간 집값 격차도 역대 최고 수준이다. 한국은행 자료를 보면 지난 7월 아파트 매매 실거래 가격 지수는 수도권 152.0,지방 105.2로 나타나 격차가 17년 만에 최대치로 확대됐다.
문제는 향후 전망도 밝지 않다는 점이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2026년 수도권 집값이 2.0% 오르는 반면,지방은 0.5% 추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시장·업계 전문가들은 지방이 인구 감소와 미분양 부담이라는 구조적 한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매매가격 하락이 지속될 수밖에 없다고 입을 모은다.
건산연 관계자는 “수도권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집중되고 있고,최근 건설 기성·착공 물량 감소로 공급 부족 압력이 점차 커지고 있다”면서 “내년 역시 공급 제약으로 집값 상승 압력이 더욱 강해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수도권 집중 현상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관련 뉴스
노·도·강 매매계약 ‘0’…토허구역 묶이자 ‘비강남’ 아파트 거래절벽
“집 보러 오는 사람 뚝”…10·15대책에 서울 아파트 심리 9주 만에 하락
서울 아파트 전월세 재계약 절반이 갱신…당분간 전세난 심화할 듯
AI가 뉴스를 읽고 숨겨진 투자 기회까지 찾아드립니다.
남들보다 한발 앞선 투자 인사이트를 얻어보세요.
닫기
기사 속 종목 이야기
Powered by
perplexity
삼성물산
028260,
KOSPI
216,000
+ 0.23%
현대건설
000720,
KOSPI
62,100
- 3.42%
DL이앤씨
375500,
KOSPI
39,000
- 2.26%
GS건설
006360,
KOSPI
17,950
- 1.21%
삼성물산
현재가 216,000
+ 0.23%
11.06 10:18
삼성물산은 국내 대형 건설사로,주택,상업시설,인프라 등 다양한 건설 사업을 영위하며,특히 서울 및 수도권 주요 지역의 고급 아파트 브랜드 '래미안'을 중심으로 주택사업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과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수도권 공급 부족에 따른 가격 격차 확대는 주택 분양 및 재건축·재개발 사업의 수주 경쟁력과 브랜드 가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입니다. 서울 및 수도권 내 고급 주택 공급 확대,재건축 시장 활성화 등은 사업 기회와 직결되어 있습니다.
외부적으로는 금리,정부의 주택 공급 정책,인구 구조 변화,수도권 집중 현상 등이 건설업계의 수주 환경과 실적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현대건설
현재가 62,100
-3.42%
11.06 10:18
현대건설은 국내외 대형 건설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종합 건설사로,아파트 브랜드 '힐스테이트'를 통해 수도권 및 서울 핵심 지역의 주택 시장에서 강한 입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값의 상승과 공급 부족,수도권 집중 현상은 재건축·재개발,신규 분양 사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서울 및 수도권 내 고급 주택 수요 확대와 지방 시장의 미분양 적체 심화로 인해,수도권 내 신규 분양 및 고급 주택 공급 역량이 기업의 사업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외부 환경으로는 정부의 부동산 규제,금리,인구 이동,원자재 가격 변동 등이 주요 변수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DL이앤씨
현재가 39,000
-2.26%
11.06 10:18
DL이앤씨는 주택,플랜트,인프라 등 다양한 건설 부문을 영위하는 종합 건설사입니다. 'e편한세상' 브랜드를 통해 서울 및 수도권 주택 시장에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똘똘한 한 채' 선호,수도권 공급 부족 현상은 DL이앤씨의 주택 분양 및 재건축 사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입니다. 서울 및 수도권 내 신규 분양과 재건축 수주 확대는 DL이앤씨의 주택사업 수익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외부적으로는 금리,정부의 주택 정책,경쟁사 동향 등이 건설업 전반의 수주 환경과 실적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GS건설
현재가 17,950
-1.21%
11.06 10:18
GS건설은 주택,건축,인프라,플랜트 등 다양한 건설 사업을 영위하며,'자이' 브랜드를 통해 서울 및 수도권 아파트 시장에서 강한 브랜드 파워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과 수도권 집중 현상,공급 부족은 신규 분양 및 재건축·재개발 사업과 연관이 있습니다. 서울 및 수도권 내 고급 주택 공급 확대와 브랜드 선호도 증가는 주택사업 경쟁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외부 환경으로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원자재 가격 등이 주요 변수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AI 추천 질문Beta
Powered by
perplexity
서울 아파트값 급등이 자산 불평등 심화에 미치는 영향은?
지방 주택시장 침체가 인구 이동과 경제구조에 미칠 파급 효과는?
검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