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년생 회장 비서실장 떴다 … SK그룹 더 젊고 더 빠르게

2025-11-07     HaiPress

SK하이닉스 부사장 류병훈 발탁


핵심계열사 섭렵 미래전략 인재


최태원 회장 조직혁신 의중

SK그룹이 최태원 회장의 비서실장을 1980년생으로 바꾸며 세대교체에 나섰다. SK그룹은 최근 사장단 인사 이후 후속 조치로 회장 비서실장에 류병훈 SK하이닉스 미래전략 담당(부사장)을 발탁했다. 류 신임 비서실장은 1980년 10월생으로 그룹 내 핵심 전략 라인을 두루 거친 실무형 인재로 평가된다.


이번 인사는 SK그룹 비서실의 김정규 전 실장이 SK스퀘어 사장으로 이동하면서 이뤄졌다. 김 전 실장은 1976년생이다.


국내 주요 그룹 가운데 회장 직속 비서실장 제도를 유지하는 곳은 SK와 LG 정도다. 삼성과 현대차는 회장 개인 비서 조직을 별도로 두지 않고 있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의 비서팀장은 구 회장과 같은 1978년생이다. 최 회장이 1960년생임을 고려하면 SK가 그보다 더 젊은 비서실장을 내세운 셈이다.


재계에서는 이번 인사를 두고 최 회장이 조직 혁신과 세대교체를 동시에 주문한 신호탄으로 해석하고 있다. 최 회장과 20년 나이 차가 나는 1980년생 비서실장을 택한 것은 '빠른 변화와 소통'을 중시한 의중이라는 분석이다.


최근 SK텔레콤을 비롯한 일부 계열사들은 대외협력(CR)과 홍보(PR) 조직을 통합 운영하는 등 조직을 '작고 강한 구조'로 재편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비서실 인사도 이러한 조직 슬림화와 의사결정 속도 제고 전략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이동인 기자]


AI가 뉴스를 읽고 숨겨진 투자 기회까지 찾아드립니다.


남들보다 한발 앞선 투자 인사이트를 얻어보세요.

닫기

기사 속 종목 이야기

Powered by

perplexity

SK하이닉스

000660,KOSPI

580,000

- 2.19%

SK스퀘어

402340,

KOSPI

279,000

+ 3.33%

SK텔레콤

017670,

KOSPI

53,400

- 0.19%

SK하이닉스

현재가 580,000

-2.19%

11.07 15:30

SK하이닉스는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제조 기업으로,DRAM과 NAND 플래시 등 주력 제품을 중심으로 세계 시장에서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미래전략 담당 임원이 SK그룹 회장 비서실장으로 선임되었으며,해당 임원은 그룹 내 핵심 전략 라인을 두루 거친 실무형 인재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번 인사는 SK그룹의 조직 혁신과 세대교체,빠른 변화와 소통을 중시하는 전략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SK하이닉스는 최근 반도체 산업의 외부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미래전략 조직을 중심으로 성장 전략을 수립하고 있으며,구성원 간 협업과 소통의 가치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SK스퀘어

현재가 279,000

+ 3.33%

11.07 15:30

SK스퀘어는 ICT 및 반도체 투자 전문 지주회사로,SK텔레콤,SK하이닉스 등 주요 계열사의 지분을 보유하며 신사업 발굴과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최근 SK그룹 비서실의 김정규 전 실장이 SK스퀘어 사장으로 이동하였으며,이는 그룹 내 인사 이동과 전략적 역할 변화가 SK스퀘어의 경영 방향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SK스퀘어는 그룹 내 핵심 인재의 이동을 통해 ICT 및 반도체 분야의 투자,신사업 추진,조직 혁신 등 주요 경영 활동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그룹 차원의 조직 슬림화와 의사결정 속도 제고 전략은 SK스퀘어의 사업 구조 재편과 투자 의사결정 프로세스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SK텔레콤

현재가 53,400

-0.19%

11.07 15:30

SK텔레콤은 국내 최대 이동통신 사업자로,5G 네트워크,AI,클라우드 등 ICT 신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최근 SK텔레콤은 대외협력(CR)과 홍보(PR) 조직을 통합 운영하는 등 조직을 '작고 강한 구조'로 재편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조직 슬림화와 의사결정 속도 제고 전략은 SK텔레콤의 마케팅,고객 서비스,신사업 추진 등 주요 활동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며,그룹 차원의 혁신 기조와 맞물려 사업 경쟁력 강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SK텔레콤은 ICT 산업의 기술 트렌드 변화,경쟁사 동향,정부 규제 등 외부 환경 변수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AI 추천 질문Beta

Powered by

perplexity

대형 그룹들의 회장 직속 참모진 세대 교체 추진 배경은?

SK그룹이 조직 슬림화와 의사결정 속도 개선을 강조하는 이유는?

검색

면책 조항 :이 기사는 다른 매체에서 재생산되었으므로 재 인쇄의 목적은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지,이 웹 사이트가 그 견해에 동의하고 그 진위에 책임이 있으며 법적 책임을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이 사이트의 모든 자료는 인터넷을 통해 수집되며, 공유의 목적은 모든 사람의 학습과 참고를위한 것이며, 저작권 또는 지적 재산권 침해가있는 경우 메시지를 남겨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