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궤도 위성통신 국내 서비스 내달 시작된다

2025-08-19     HaiPress

스타링크 등 장비 적합 인증 받아


도서·산간서도 원활한 통신기대

차세대 통신 인프라스트럭처로 주목받는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가 이르면 다음달 국내에서 상용화할 전망이다. 저궤도 위성통신은 수백~수천 기의 위성이 300∼1500㎞ 고도에서 하루 10회 이상 공전해 인터넷을 공급하는 차세대 통신 기술이다. 기존 통신망이 잘 닿지 않는 도서·산간 지역에서도 통신을 가능하게 해 기존 이동통신망과 보완적 역할을 할 수 있다.


19일 위성통신업계에 따르면 프랑스·영국 합작업체 유텔샛의 '원웹'과 미국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가 나란히 국내에서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를 개시하기 위한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유텔샛은 최근 원웹의 장비 인증을 마치고 국내 네트워크 거점(PoP)과 지상망 연동 작업을 진행 중이다. KT SAT 관계자는 "9월쯤에는 (서비스를) 시작하지 않을까 예상한다"고 말했다. 스페이스X도 국내 서비스를 개시하기 위한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스페이스X는 지난 11일 국립전파연구원에서 안테나 장비인 '저궤도 위성통신 지구국 무선설비 기기'에 대한 적합성 인증을 획득했다. 현재는 안테나 단말기 1종만 인증을 통과했지만 나머지 장비들도 조만간 순차적으로 승인될 전망이다. 적합성 평가가 마무리되면 서비스 개시 시점은 각 사업자가 자율적으로 결정한다. 스타링크코리아 공식 리셀러인 SK텔링크 관계자는 "장비 인증이 모두 통과되면 잠깐의 리드타임 후 사업을 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스페이스X는 2023년 한국에 법인을 설립하고 지난 6월 국경 간 공급 협정에 대해 정부 승인을 받았다.


원웹 역시 국내 기간통신사업자인 한화시스템,KT SAT과 체결한 협정이 승인돼 사업 추진에 필요한 요건을 충족했다.


[김대기 기자]


AI 추천 질문Beta

저궤도 위성통신 상용화가 국내 통신시장 구조에 미칠 영향은?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 발전의 글로벌 경쟁 심화 배경은?

검색

면책 조항 :이 기사는 다른 매체에서 재생산되었으므로 재 인쇄의 목적은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지,이 웹 사이트가 그 견해에 동의하고 그 진위에 책임이 있으며 법적 책임을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이 사이트의 모든 자료는 인터넷을 통해 수집되며, 공유의 목적은 모든 사람의 학습과 참고를위한 것이며, 저작권 또는 지적 재산권 침해가있는 경우 메시지를 남겨주십시오.